아기가 밤에 수면을 취할 때 등을 은은하게 켜는 것과 완전한 어둠 중 어느 것이 아이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출생 후 아기의 생체시계 발달
아기는 엄마 뱃속에서 태반을 통한 호르몬 공급을 통해 수면 주기 신호에 노출됩니다.
하지만 출생 시에는 아직 일주기 리듬 없는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영유아 자신의 일주기 시스템을 확립하고 스스로 조절을 시작해야만 합니다.
이 시기에는 환경적 요인, 특히 빛의 노출은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생체 리듬의 동기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저의 아기만 해도 밤에 수유하는 시기에는 수유등을 켜고 잤는데요.
아기가 잘 때 빛이 있는 것과 완전히 어두운 것 중 어느 것이 아기 수면에 좋은지 찾아보겠습니다.
빛 노출이 영유아 수면에 미치는 영향
환경광이 영아 수면에 미치는 영향
Rise & SHINE 연구에서 313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진행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결과, 완전히 어두운 환경에서 잠을 잔 아기들이 어둡지 않은 환경의 아기들에 비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보였습니다[2].
- 야간 수면 시간이 28분 더 길었음
- 가장 긴 연속 수면 시간이 39분 더 길었음
즉, 완전히 어둡게 잔 아기들이 더 잘 잤다는 얘기입니다.
이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 따르면, 낮에는 밝고 밤에는 어두운 주기적인 조명은 주간 각성과 야간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최적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의 권고사항은 명확합니다: "
명확한 빛 신호는 영유아의 뇌가 낮과 밤을 구분하고, 그에 맞춰 수면, 각성, 호르몬 분비 등의 각종 생리적 과정을 학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기의 일주기 시스템 확립에 중요한 시기는 멜라토닌과 코르티솔이 본격적으로 리듬을 만들기 시작하는 2~4개월입니다.
본격적인 신경 발달이 이루어지는 이 시기의 부적절한 빛 신호는 단순히 일시적인 수면 방해에 그치지 않고 견고하지 못한 일주기 기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일주기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프로그래밍되는 이 시기에는 특히 빛-어둠 주기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빛의 수면 억제력
빛의 노출은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호르몬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둠은 송과선에서의 멜라토닌 생산을 촉진하여 수면을 유도합니다.
그런데 야간에 멜라토닌의 자연적인 분비가 시작된 후 빛에 노출되면 강력한 멜라토닌 억제 신호가 생성되며, 특히 미취학 아동에 대한 연구는 이 효과가 매우 낮은 광도에서도 심대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artstein의 연구를 보면, 일반적인 실내 조명보다 훨씬 어두운 희미한 빛(5-40 lux)에만 노출되어도 멜라토닌을 평균 78% 억제했으며, 이 억제 효과는 빛이 꺼진 후 최소 50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성인에 비해 아이들은 동공이 더 크고 수정체도 더 투명하여 더 많은 빛이 망막에 도달하기 때문에 영유아에서 광과민성이 높다고 합니다.
성인에게는 매우 어둡게 느껴지는 40 lux의 빛이 아이의 신경내분비계에는 낮과 동등한 수준의 강한 생물학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야간 조명의 수준은 성인의 기준에 따라선 안된다는 것이며,
전문가들은 "얼굴 앞에 손이 보이지 않는 정도"로 가능한 한 어두운 수면 환경을 강조합니다.
빛이 없는 완전한 어둠 환경을 만들어주라는 겁니다.
아이 눈도 나빠진다?
Quinn 등이 저명한 학술지인 Nature에 1999년에 발표한 한 연구는 충격적입니다.
생후 첫 2년 동안 미등이나 실내등을 사용하는 경우 이후 아이의 근시 발병에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결과는 금방 뒤집혔습니다.
근시인 부모들이 미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유전적인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였고, 이를 보정한 추가 연구에서는 미등의 사용과 아이의 근시 사이의 상관 관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참고로 근시 발생율을 높이는 주 요인은 낮 시간의 빛 노출 시간 부족이라고 합니다.)
신체 및 인지 능력 발달의 핵심
유아기의 낮은 수면의 질은 미취학 연령에서 낮은 주의력 조절이나 행동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정상적인 주기적 빛 노출은 미숙아의 체중 증가를 촉진하고 입원 기간을 단축시켰습니다.
이는 건강한 빛-어둠 주기, 회복적인 수면, 그리고 긍정적인 발달 결과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결론: 낮에 빛에 잘 노출시키고, 밤에는 완전 어둡게 재우자!
참고문헌
[1] Kok et al. (2024) The role of light exposure in infant circadian rhythm establishment: A scoping review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84(1), 112.
[2] Quante et al. (2022) Associations of sleep-related behaviors and the sleep environment at infant age one month with sleep patterns in infants five months later. Sleep medicine, 94, 31-37.
[3] Figueiro & Rea. (2012) Preliminary evidence that light through the eyelids can suppress melatonin and phase shift dim light melatonin onset. BMC research notes, 5(1), 221.
[4] Cho et al. (2013) Exposure to dim artificial light at night increases REM sleep and awakenings in humans. Journal of Sleep Research, 22(5), 563-570.
[5] Figueiro et al. (2018) Light at night and sleep. Chronobiology International, 35(10), 1435-1444.
[6] Harrison.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daytime exposure to light and night-time sleep in 6-12-week-old infants. Journal of Sleep Research, 13(4), 345-352.
[7] Hartstein et al. (2022) High sensitivity of melatonin suppression response to evening light in pre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Pineal Research, 72(3), e12780.
[8] Higuchi et al. (2014) Influence of light at night on melatonin suppression in childre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9(9), 3298-3303.
[9] Higuchi et al. (2018) Effects of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 on melatonin secretion in children at night. Physiology & Behavior, 194, 550-554.
[10] Kok et al. (2024) The role of light exposure in infant circadian rhythm establishment: A scoping review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84(1), 112.
[11] LeBourgeois et al. (2013) Dissonance between parent-selected bedtimes and young children's circadian physiology influences nighttime settling difficulties. Mind, Brain, and Education, 7(4), 234-242.
[12] McGlashan et al. (2018) The effect of a single night of simulated night shift work on melatonin and sleep in a controlled laboratory setting. Sleep, 41(12), zsy197.
[13] Mindell et al. (2010)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infant and toddler sleep. Sleep Medicine, 11(3), 274-280.
[14] Nagare et al. (2019) Does the iPad night shift mode reduce the disruptive effects of screen time on sleep?.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51(3), 373-383.
[15] Obayashi et al. (2013) Exposure to light at night, nocturnal urinary melatonin excretion, and sleep problems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8(1), 337-344.
[16] Quinn et al. (1999) Myopia and ambient lighting at night. Nature, 399(6732), 113-114.
[17] Read et al. (2014) Light exposure and physical activity in myopic and emmetropic children.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91(3), 330-341.
[18] Sadeh, et al. (2002) Parenting and infant sleep. Sleep Medicine Reviews, 6(2), 89-104.
[19] Stothard et al. (2017) Circadian entropy is a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students. Scientific Reports, 7(1), 43241.
[20] Tähkämö (2019) Systematic review of light exposure impact on human circadian rhythm. Chronobiology International, 36(2), 151-170.
[21] Thomas et al. (2016) Light and the development of sleep-wake rhythms in the first six months of life. Sleep, 39(1), 147-155.
[22] Tsai et al. (2012) Light is beneficial for infant circadian entrainment: an actigraphic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8), 1738-1747.
[23] Wahl. (2019) The inner clock-Blue light sets the human rhythm. Journal of Biophotonics, 12(12), e201900102.
[24] Wei et al. (2024) Light, sleep, and myopia. Ophthalmology, 131(1), 1-3.
[25] Wright et al. (2013) Entrainment of the human circadian clock to the natural light-dark cycle. Current Biology, 23(16), 1554-1558.
[26] Zadnik et al. (2000) Vision: Myopia and ambient night-time lighting. Nature, 404(6774), 143-144.